HOMEWP : Life숨은 위험 찾기

숨은 위험 찾기

생활 안전 : 지진 피해 예방법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 안전 지역이 아니다. 2017년 11월 포항 지진 이후로 크고 작은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꽤 많은 사람이 이 위험을 모른 채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지 않는다. 만약 지금 땅이 흔들리고 건물 벽에 금이 갈 정도로 큰 지진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소중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금이라도 지진 피해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QUIZ

아래 그림에는 지진 발생 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인들이 숨어있다.
5개의 항목 가운데 3개의 위험을 찾아보자.

ⓒ한국서부발전 홈페이지

위험해요

1 건물 밖으로 나갈 때는 계단을 통해 신속하게 이동해야 한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건 굉장히 위험하다. 지진으로 엘리베이터가 고장 나 고립되거나 추락해 다칠 수도 있다. 탑승 중 지진이 발생했다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리도록 한다.

4 상의나 가방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이동해야 한다. 내진 건물이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것은 아니다. 지진의 강도나 진동 방향에 따라 건축물이 손상되거나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떨어지는 물건에 유의하여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해야 한다.

5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하여 비상문, 방화문, 계단 주위에는 물건을 쌓아두면 안된다. 또한 시설 이용자들은 평소 두 곳 이상의 비상문 위치를 확인해 둬야 한다.

안전해요

2 지진이 일어나면 우선 출구를 확보해야 한다. 그렇다고 지진으로 건물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출구를 확보한다고 움직이면 안 된다. 우선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기다리고, 흔들림이 멈추면 그때 출구를 확보한다.

3 화재가 발생하면 침착하고 빠르게 불을 꺼야 한다. 진화 기회는 세 번으로 작은 흔들림, 큰 흔들림, 발화된 직후다. 화재의 규모가 작을 때 1~2분 안에 불을 끌 수 있도록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