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반하다

중금속은 어디에나 있다. 생활 속 중금속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중금속에 노출되고, 알게 모르게 축적되어 몸속 면역 체계가 깨지고 있다. 하지만 가정에서 식품 조리 시, 조금만 주의하면 충분히 중금속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부터 식품 조리·섭취 시 중금속을 줄이는 방법을 알아본다.

정제된 식품 속 중금속

국수나 당면 등은 물을 충분히 넣어 삶고, 남은 면수는 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것이 좋다. 국수는 끓는 물에 5분간 삶으면 카드뮴 85.7%, 알루미늄 71.7% 제거할 수 있으며, 당면은 10분 이상 삶아야 납 69.2%, 알루미늄 64.6% 제거할 수 있다. 티백 형태의 녹차와 홍차에는 중금속이 아주 미미하게 들어 있지만, 티백을 오래 담가놓을수록 중금속량이 증가하므로 2·3분간 우려내고 건져내는 것이 좋다.

신선한 생선 속 중금속

중금속 농도가 높은 생선의 내장은 가급적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메틸수은에 민감한 임신·수유 여성과 유아·어린이는 생선의 종류와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안전하다. 1~2세 유아는 일반 어류와 참치통조림은 일주일에 100g 이하로 섭취하고, 다랑어·새치류·상어류는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섭취할 경우 일주일에 25g 이하를 권장한다. 3~6세 어린이는 일반 어류와 참치 통조림은 일주일에 150g 이하로 섭취하고, 다랑어·새치류·상어류는 일주일에 40g 이하로 1회 섭취하는 게 좋다. 7~10세 어린이는 일반 어류와 참치통조림의 경우 일주일에 250g 이하로 섭취하고, 다랑어·새치류·상어류는 일주일에 65g 이하로 1회 섭취를 권장한다.

입에 닿는 식기 속 중금속

새로 구매한 금속제 기구·용기는 사용하기 전에 식초 물을 넣고 10분 정도 끓인 후 깨끗이 세척하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금속 성분은 산성 용액에서 잘 용출되므로 식초를 이용하면 금속제 표면에 오염된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금속제 프라이팬은 세척 후 물기를 닦은 다음 식용유를 두르고 달구는 방법을 3~4회 반복하여 사용하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 성분의 용출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