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부발전은 신기후체제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청정석탄기술인 태안 IGCC 최적 운영, 연료전환을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획기적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CCU(탄소포집·전환) 기술과 CO
2 Free 바이오 연료를 개발하여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 농가, 기후변화 취약지역 공동시설 등 온실가스 감축 사각분야에 대한 감축 사업을 발굴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저탄소 현업·상생을 위해 국내 최초로 농가-기업 온실가스 감축 상생사업모델을 개발하여 농가의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이고 농가 소득 증대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포용적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한국서부발전은 온실가스 감축의 사각분야를 해소하고자 기후변화 취약 지역 및 분야를 대상으로한 온실가스 감축 외부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지속가능한 감축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본 사업 모델은 타 기관 및 타 분야로 확대 전파되어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농가] 농가·기업 공동 온실가스 감축사업 (국내 최초 기업, 정부, 지자체 협업사업)
한국서부발전은 농림축산식품부, 충청남도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충남지역 농가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2019년까지 100개 이상 농가의 저탄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충청남도에서 시작한 농업부문 온실가스감축사업 상생모델은 현재 경상남도 등 전국 농가로 확대되고 있으며, 정부'에너지전환우수 사례'에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충청남도에서 시작한 농업부문 온실가스감축사업 상생모델은 현재 경상남도 등 전국 농가로 확대되고 있으며, 정부'에너지전환우수 사례'에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형, 동반성장형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한국서부발전은 중소기업의 신소득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일자리 창출형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동반성장형 온실가스 감축사업 모델을 개발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산림] 서부-강원도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상쇄 협력 사업
[건물]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적응을 위한 농어촌 취약지역 공동시설 지원
[어촌] 어촌 폐기물을 석회석 대체제로 활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해안가 오염원인 굴 껍데기를 유용한 자원으로 개발하여 발전소의 탈황연료인 석회석을 대체하는 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약 13만톤의 연간 CO2 감축 효과와 함께 매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어민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신기술 연구개발 및 실증
한국서부발전은 온실가스 감축 신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태안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 복합 실증플랜트를 2019년 3월에 준공하였으며 2020년 5월까지 예정된 실증운전을 통해 세계 최고수준의 이산화탄소 포집기술과 전환기술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포집기술] 국산 MAB 흡수제 기술 기반 이산화탄소 습식포집 실증설비
습식포집설비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MAB(Modulated Amine Blended) 흡수제를 적용한 설비로 상용화 기술 대비 이산화탄소 습수속도가 2배 향상되었고 흡수제 재생에너지가 약 20% 절감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입니다.
[전환기술] 미세조류를 활용한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고속전환 실증설비(1톤급)
생물전환설비에 적용된 미세조류 고속전환 기술은 선진국 보유기술 대비 세포성장성(성능)이 약 3.5배 향상된 기술로서 석탄화력 배가스에 특화된 미세조류 균주가 이산화탄소를 섭취하여 바이오 연료와 같은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되는 친환경 저비용 신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