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의 맛
Writer 고정희
Photo 정준택, 태안군청
바다 향기 가득한 태안의 음식
예로부터 지역에서 나는 품질 좋은 먹거리는 진상품으로 왕에게 올려졌다. 조선 시대 태안의 진상품에는 김, 해청, 낙지, 전복, 숭어, 민어, 상어, 홍어, 대하 등이 있다. 이중 안흥의 생전복은 나라에서 너무 많은 양을 요구해 태안 사람들을 힘들게 했다. 태안에는 싱싱한 해물을 활용한 사계절 전통음식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 중 태안과 서산에서만 만날 수 있는 음식은 게국지, 우럭젓국, 박속밀국낙지탕 등이 있다.
배고프던 이른 봄, 특별한 먹거리였던 ‘게국지’
게국지는 태안을 벗어나서는 맛보기 힘든 충청남도의 향토 음식이다. 간장게장과 꽃게탕과 비교해 덜 알려진 게국지는 먹을 것이 귀하던 시절 칠게로 담근 게장을 겨우내 먹고 난 뒤 게장을 버리기 아까워 김장김치가 떨어질 때쯤인 이른 봄부터 초여름까지 묵은지나 봄동 겉절이 쉰 것, 먹고 남은 얼갈이배추와 열무김치 등을 넣어 간을 맞춰 끓여먹던 데서 유래했다. 배고프던 이른 봄 특별한 먹거리였던 셈이다.
전통방식대로라면 게장의 간장과 봄동과 얼갈이배추로 끓여낸 것이다 보니 연한 커피색이 나는 것이 맞지만, 그 맛이 워낙 토속적이어서 관광객들의 호불호가 갈린다. 그래서 최근에는 게장 대신 생꽃게를 넣는 형태로 변형된 곳들이 많다.
제사상에 올린 말린 우럭으로 끓인 ‘우럭젓국’
우럭젓국은 태안 사람들에게는 친숙한 음식이지만 외지인들에게는 이름조차 낯설다. 봄에 잡은 통통한 우럭을 말려 우럭포로 만들고, 이것을 맑은 국물로 끓여낸 탕이다.
우럭젓국의 신의 한 수는 바로 생우럭이 아닌 말린 우럭포를 사용한 것이다. 서산 지역에서는 옛날부터 제사상에 말린 우럭을 올렸는데, 제사가 끝난 후 그 우럭포로 국을 끓여먹던 데에서 시작된 음식이 바로 우럭젓국이다. 말린 우럭을 사용하기 때문에 식감은 부드러우면서 쫀득하고 국물에서 비릿한 맛도 없다. 자극적이지 않으면서 담백한 국물 맛 덕분에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
대표적인 스테미너음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박속밀국낙지탕’
박속밀국낙지탕 역시 태안만의 독특한 음식이다. 태안과 서산에서는 1년 내내 낙지가 잡힌다. 특히 6월 전후에 잡는 낙지가 가장 맛있고, 이 시기에는 햇밀을 수확할 때여서 좋은 밀가루를 구하기 쉬웠다. 그래서 옛날 태안 사람들은 박속과 무 등을 끓인 시원한 국물에 낙지를 데쳐 먹은 뒤 그 국물에 수제비나 칼국수를 넣어 먹어 ‘밀국낙지’, ‘박속낙지’ 등으로 불렀다. 전설에는 전란 중에 피난을 떠나던 선비가 이곳에서 박속밀국낙지탕을 먹고 그 맛을 못 잊어 다시 태안으로 돌아왔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낙지는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타우린을 대량 함유해 ‘갯벌의 산삼’으로도 불린다. 그러다 보니 요즈음에는 대표적인 ‘스테미너음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