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
발전원리
빛에너지가 태양전지에 입사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방식
태양광모듈
-
접속반
-
태양광 인버터
-
한국전력 송배전계통
-
소비자
(가정, 공장 등)
태양광모듈 : 태양에너지가 입사되어 전류를 생성시키는 곳
접속반 :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DC) 전력을 모아 인버터로 전달하는 기기
인버터(Inverter) :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직류전기(DC)를 교류전기(AC)로 바꾸는 기기다.
태양광 설비의 안정성 및 환경성
- 안정성
설계, 시공, 운영 단계별로 철저한 안전관리 대책과 대응체제 수립
- 설계단계
- (육상) 태풍 및 폭우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발생하는 산사태와 같은 위험요소로부터 안전한 기초공법 및 설계 안전율 반영
- (수상) 풍하중과 적설하중, 절연강도를 고려한 설계 안전율 반영
- 시공단계
- (육상) 철저한 안전관리와 시공지침서에 따른 시공, 감독
- (수상) 육지에서 블록으로 조립해서 수상으로 연결하여 수상 작업을 최소화 하는 공법으로 안전사고를 예방
- 운영단계
- 통합운영센터 및 종합방재센터에서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감시체제 구축으로 안전, 재난, 보안을 강화하고, 관리운영 지침, 정비작업 지침서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
- 환경성
친환경적 인증 자재 사용 및 철거 시 폐기물 처리방안 수립
- 수도용출시험을 필한 자재를 선정
- 국가공인기관이 수도용 자재 및 제품에 대한 중금속,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분석하여 시험결과가 수질기준, 위생기준에 적합한지 판단
- 수상태양광 시설에 대한 환경영향성 조사결과 환경적 영향 미미
- 수자원공사가 합천호에 가동중인 500kW 수상태양광 시설에 대한 환경영향성 조사결과 환경적 영향은 미미하며 오히려 녹조발생 억제 및 증발량 감소 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남
- 태양광 모듈의 중금속에 대한 오해
-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조사 결과 국내 보급된 태양광 폐모듈 4종 대상 7가지 중금속의 용출 및 함량 분석을 수행 결과 ‘폐기물관리법’상 기준치 미만으로 안전함 또한 국내 보급된 태양광 모듈은 대부분 결정질 실리콘(C-SI) 태양전지를 사용한 모듈로 카드뮴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안전함
- 태양광 설비의 전자파와 빛반사에 대한 오해
- 공인 시험인증기관들의 시험 결과 태양광 설비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생활가전보다 낮은 수준이고, 빛 반사와 복사열에 따른 부작용도 없는 것으로 나타남
태양광 발전과 생활 가전 전자파 비교
태양광 설비
0.07mG
-
청소기
0.5mG -
노트북
0.7mG -
드라이기
37.9mG -
인체보호기준
62.5mG
태양광 모듈의 빛 반사율 비교
태양광 모듈
5.1%
-
유리, 플라스틱
8~10% -
붉은 벽돌
10~20% -
밝은 목재
25~30% -
흰색 페인트
70~90%
- 폐모듈 처리방안
- 환경부 폐기물관리법 개정안에 따라 「태양광 폐모듈 생산자 책임제」 활용하여 태양광 모듈 생산자가 자사제품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회수 및 재활용 할 의무를 부여하여 환경피해를 최소화 할 계획
- 자연재해 등으로 발생한 폐모듈을 긴급 수거해 한국환경공단 폐기물사업장 등에 임시 보관 후 기초검사를 통해 재활용업체에 전달하여 환경피해를 최소화 할 계획
- 2021년 6월까지 충북 진천에 조성할 예정인 태양광 재활용센터와 폐모듈 재활용 협업예정(폐기물 처리 계획량 : 3,500톤/년)
-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프로세스
의무생산자
수입업자
임대업자 출고량/판매량 제출 운영재원 마련
수입업자
임대업자 출고량/판매량 제출 운영재원 마련
설치업자
산업용(발전용)
생산자 네트워크
생산자 네트워크
해체업자
거점수거센터
(한국환경공단사업장) 수거운반
관리표 작성
(한국환경공단사업장) 수거운반
관리표 작성
물류차
물류비지원
공제조합 재활용시설투자
(장비도입 및 적용)
공제조합 재활용시설투자
(장비도입 및 적용)
재활용센터
(수도권자원순환센터) 재활용관리표
작성
(수도권자원순환센터) 재활용관리표
작성
전산관리시스템 (한국환경공단 EcoAS)
-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6단계
단계 | 내용 |
---|---|
1단계 | 폐기된 태양광 모듈의 회수 |
2단계 | 열처리 공정 |
3단계 | 부품별 분류작업 진행 |
4단계 | 화학적 처리 |
5단계 | 결정성장 |
6단계 | 새로운 태양광 모듈 제작에 활용 |